성장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내가 무엇을 잘하고 무엇이 부족한지 모른다는 것이다.
메타 인지라고 부르는데 즉, ‘나 자신에 대한 이해’가 낮은 것이다.
- 성장한다는 것은 내가 잘하는 것을 더 보강하여 더욱 잘하고, 부족한 부분을 채워 개선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https://blog.kakaocdn.net/dn/EGU08/btsG4hUtJaC/MKcdaRkxBKBBwi9wsE3LVk/img.png)
메타 인지를 높이는 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피드백을 이용하는 것이다.
- 예를 들면, 개발자들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울 때부터 피드백에 익숙해져 있다. 코드를 타이핑하는 순간 컴파일러가 바로 구체적인 피드백을 준다. 무엇이 잘못되었는지를 바로 인지하고 고친다. 한 줄을 작성해도 그 안에 컴파일러 간의 몇 번의 피드백이 담겨 있다.
피드백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는 것만으로 성장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피드백을 어떻게 받아들이는지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https://blog.kakaocdn.net/dn/bT9ilj/btsG7AdIcul/VJyqDvRDRMkbzoSYywAIN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tZlrC/btsG3MN0atM/qan4NqNxvWuwUeY1CO0Efk/img.png)
이 글은 피드백 받는 당사자 입장에 피드백을 받아들이고 이를 통해 성장하는 법을 다룬다.
![](https://blog.kakaocdn.net/dn/bn3VaB/btsG51b2Vlo/clKh09sKpCFY5rbgIWTClk/img.png)
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2526/
피드백을 통해 성장하는 법 6가지 | 요즘IT
메타 인지를 높이는 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피드백을 이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개발자들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울 때부터 피드백에 익숙해져 있다. 코드를 타이핑하는 순간 컴파일러가
yozm.wishket.com
1. 의도적인 피드백 고리 만들기
2. 내 문제는 내가 정의해야 한다
3. 내일 당장 할 수 있는 일로 만들기
4. 실패로 빠르게 학습하기
5. 피드백과 자극을 구분하기
6. 모든 피드백을 받아들일 필요는 없다
'끄적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슈타인과 막스 탈무드 (문제아가 천재로) (47) | 2024.05.28 |
---|---|
세상은 혼자 살아갈 수 없어, 산포요시 (三方よし) (47) | 2024.05.27 |
청출어람 청어람(靑出於藍 靑於藍) (0) | 2024.04.20 |
욕심이 끼치는 영향, 아프리카 원주민의 원숭이 잡는법 (0) | 2023.11.03 |
낭중지추(囊中之錐) (2) | 2023.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