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은 20세기 후반에 등장한 문학, 예술, 사회 및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한 운동입니다. 이는 모더니즘의 후속 운동으로, 모더니즘에 대한 비판과 대안으로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포스트모더니즘의 주요 특징은 상대주의적인 접근, 다원주의적 시각, 신화의 해체, 메타텍스트 등이 있습니다.
포스트모더니즘의 문학에서는 기존의 서사 구조나 정통적인 소설 철학을 기반으로 하는 것들을 깨뜨리는 시도가 이루어지며, 현실의 복잡성, 불확실성과 관련된 주제들이 다뤄집니다. 또한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에서는 인위적이거나 현실적이지 않은 언어, 문법적인 형식의 탈견해, 대중문화와 고전 미학의 융합 등이 시도되기도 합니다.
포스트모더니즘은 다양한 분야에서 영향을 끼쳤으며, 예술, 문화, 철학 분야에서 다양한 시도와 실험을 통해 현대사회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용어는 모더니즘 운동의 후속 단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며, 이는 예술, 문학, 문화, 철학, 사회과학, 건축 등의 분야에서 적용됩니다.
포스트모더니즘이 정확히 언제 시작되었는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20세기 중반에서 후반으로 간주됩니다. 포스트모더니즘은 전체적으로 미학과 철학, 사회 이론 등에 대한 기존의 접근방법에 대한 반발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포스트모더니즘은 현실의 한 가지 정의나 의미에 구속되지 않는 것을 중요시하며, 지식과 진실에 대한 절대적인 옳고 그름이나 표준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주장을 특징으로 합니다. 이는 모더니즘의 절대주의와 대비되는 접근법인 상대주의를 반영합니다.
또한 포스트모더니즘은 미학적인 면에서 탈중심화, 복잡성, 불확실성을 강조합니다. 이는 예술작품이나 건축물에서 이치에 맞지 않거나, 예상치 못한 구조의 형태를 취하는 데 표현될 수 있습니다.
모더니즘과 포스트 모더니즘의 차이점
모더니즘과 포스트 모더니즘은 모두 문화, 예술, 철학, 문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급진적 변화를 이끌었던 중요한 이론적 관점입니다.
이 두 관점 사이에는 많은 차이점이 있습니다:
1. 모더니즘은 과학적 사고와 진실에 대한 절대성이 강조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들은 사실에 대한 진실이 존재하며, 이것을 발견하고 이해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반해 포스트모더니즘은 진실이 상대적이며, 문화와 자신의 관점에 따라 변할 수 있다는 관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2. 모더니즘은 '대중문화'를 저평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면에, 포스트모더니즘은 대중문화와 '고문화' 사이의 구분을 깨뜨립니다.
3. 모더니즘 예술은 일반적으로 형식에 집중하며, 추상적인 표현을 사용하여 주제를 탐색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면, 포스트모더니즘 예술은 적극적으로 대중문화 요소를 포함시키거나 비일반적인 원료를 사용하여 작품을 제작하는 등, 전통적인 장르와 형식을 파괴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4. 모더니즘은 사회와 문화의 핵심적인 구조를 확립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런데 반면에 포스트모더니즘은 이러한 구조와 관념을 비판하고 분해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5. 모더니즘은 일반적으로 선형적인 서사를 선호하는 반면, 포스트모더니즘은 비선형적인, 혼란스러운 서사를 종종 사용합니다.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은 이러한 방식을 통해 전통적인 그림이나 이야기가 제공하는 '진실'이나 '의미'에 도전하려고 합니다.
이러한 차이점들은 단지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전형적인 특징일 뿐, 두 이론은 그들이 생겨난 시대와 문화적 맥락에 따라 크게 변화할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Cl9bo/btsIo8vxiPa/r6bIVF7UJTqTYH23scKxK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uiL7j/btsIpVhRMoj/jq1FqFoQQIg0AnRF2mGp3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VG8XC/btsIph0fY7x/UcTs4pZ4HDSSlHUXZu2ME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IdFXV/btsIqUWwkJ4/UecgZF93MSbmci9kvLPiSk/img.jpg)
p.s. 하지만 난 자전거를 탈 줄 모르지🤗
'끄적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 정신 성숙의 마지막 단계, 위버멘쉬(Übermensch) (31) | 2024.07.21 |
---|---|
이미 예측되어 온 결과 저출산과 사회 붕괴, The Universe 25 (52) | 2024.07.13 |
청년이 할머니, 할아버지가 되는 걸 보고 싶었다 (56) | 2024.07.03 |
헤겔의 ‘역사’는 정의 실현의 무한한 발걸음 (43) | 2024.06.16 |
삼봉(三峰) 정도전의 생애 (39) | 2024.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