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성애와 부성애
한 때 모성애에 초점을 둔 이야기가 많이 만들어지던 시기가 있었다. 임옥희는 <채식주의자 뱀파이어>에서 자본주의 사회는 돈이라는 물신에 기대어 모든 가치를 ‘평등하게’ 환산하는 사회라며, 돈으로 환산되지 않도록 묶어놓은 ‘중세적’ 영역이 바로 모성이라고 보았다. 그는 신자유주의 시대에 모성은 과도하게 이상화되어 나타난다고 보았는데, 이는 2000년대 우리사회의 엄마 열풍과 연관된다.
한 차례의 엄마 열풍이 지나가고, 현재 우리 사회는 아빠 열풍이 드세게 불고 있다. 화제의 예능프로그램인 <아빠 어디 가?>를 비롯해 1,200만 명이상의 관객을 사로잡은 영화 <7번 방의 선물>은 모두 전면에 부성애를 내세우고 있다. 마치 경쟁하듯이 이야기되는 모성애와 부성애. 그렇다면 과연 모성애와 부성애는 어떻게 다를까?
모성애와 부성애를 이야기하기에 앞서 우선 이야기되어야 하는 것이 바로 여성성과 남성성이다. 프로이트는 인간이 본래 양성적 존재이며,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어떻게 극복하느냐에 따라 성적 차이가 발생한다고 생각했다.
남자아이는 거세 콤플렉스로, 여자아이는 남근을 선망하는 태도로 인하여 각각 아버지와 어머니의 위치와 자신을 동일시한다. 남근의 여부는 적극성과 소극성이라는 남성, 여성의 기본 성격과도 이어진다.
프로이트의 영향을 받은 에리히 프롬은 그의 저서 <사랑의 기술>에서 모성애와 부성애를 뚜렷이 구분하고 있다.
그는 모성애의 본질을 무조건적인 사랑이라고 보았다. 이에 반해 아버지의 사랑은 조건이 있는 사랑이다. 또한, 어머니가 아이를 탄생시킨 자연적 세계라면, 아버지는 인공적 사물, 법률과 질서, 훈련 등의 세계를 의미한다.
어머니와 아버지의 태도 차이는 어린이 자신의 욕구와도 일치한다. 갓난아이는 어머니의 무조건적인 사랑과 보호가 필요하지만 6세 이후가 되면 아버지의 권위와 지도를 욕구하기 시작다.
어린이는 아버지와의 관계를 통해 세계에 들어서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알 수 있는 것은 바로 모성애와 부성애가 한 어린이가 어른이 되는 데 각각 다른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이다.
다시 우리 사회의 부성애로 돌아가자. 요즘 우리 사회의 부성애에서 나타나는 가장 큰 특성은 바로 과거에 어머니에게 요구되던 부분이 아버지에게도 요구되고 있다는 점이다.
김득성(아동가족) 교수는 “사회구조, 경제구조가 바뀌면서 아버지에게 기대하는 역할상이 바뀌었다”며 “과거 산업사회에서 아버지에게는 돈을 벌어오는 것과 같은 도구적 역할이, 어머니에게는 양육과 관련된 표현적 역할이 요구되었지만, 오늘날에는 아버지, 어머니 구분 없이 두 역할 모두 요구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처럼 모성애와 부성애는 고정된 실체로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시대적⋅사회적 맥락에 따라 재구성되고 새롭게 배치되고 있다.
p.s. 가정의 화목이 무엇보다 중요한 이유는 모성애와 부성애의 형태가 다르기에 두 사랑 모두를 받아야 균형잡힌 아이로 성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p.s. 부모의 좋은 유전자를 물려받고 사랑으로 자란 덕에 재능이 많고 사랑이 가득하여 모든 연령대의 사람이 다가오고 가만히 있어도 열등감에 사로잡힌 인간들에게 억까란 억까는 다 당하고, 친인척과 가족을 포함하여 인간의 선악의 군상이란 군상은 다 보고 자라며 쓰러지려하면 사랑하는 존재들의 죽음과 법적 분쟁 및 재산 분쟁과 보증과 불치병과 치매와 우울증으로 정신차리게 하는 나의 인생🌟 고작 25년 만에 맷집으로 성을 지었네🏰☢️
'끄적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이의 법칙(鯉もしくは恋の法則) (46) | 2024.12.11 |
---|---|
도끼의 날을 갈 시간이 필요하다, 졸속(拙速) (50) | 2024.12.03 |
국가 정치 체제의 변화와 지식인의 도덕적 의무, Authoritarian capitalism (7) | 2024.10.31 |
60년대생의 은퇴 축복인가 재앙인가, 대비(對備) (16) | 2024.10.19 |
영어를 통한 어원에 대한 고찰, offspring (23) | 2024.10.08 |